교회생활 안내-이단종파 대처방안

이단이란?

이단이란 전통적인 사상이나 신조나 교리에서 벗어난 주장이나 학설을 가리키는 말로써 기독교 이단이란 “성경과 정통교회가 가르치는 근본교리, 곧 사도적 교회가 믿어온 참 신앙에서 탈선되거나 것짓으로 주장을 하는 것”을 말한다.

(행24:14,고전:11:19,갈5:19~20,딛3:11,벧후2:1,고전1:10)

이단 분별의 기준

1) 사도신경의 신앙고백 여부: 통일교 여호와의 증인 몰몬교 박태선의 천부교 안식교 등은 사도신경을 받아들이지 않음.

2) 정통교회가 예수 그리수도의 십자가의 구속의 도리를 믿는데 반하여 이단은 이를 거부함.

3) 성경의 통일성: 정통교회는 신구약 성경 66권을 받아 들이며 하나님의 특별계시를 믿는데 반해 이단은 신구약성경의 권위보다 그들의 다른 복음(갈1:7­8, 고11:4)에 권위를 부여하고 있으며 하나님의 특별계시의 계속성을 주장한다.

4) 전도의 대상: 이단은 마24:24에 기록된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택함을 받은 자 즉 기성교회 교인들만 대상으로 삼아 미혹하고있다. (대표적인 사례­구원파 여호와의 증인)

5) 이단들은 그들의 지도자를 반드시 숭배의 대상으로 삼거나 신격화 한다.

6) 성경해석에 있어서 이단들은 대부분 은유적 해석 영해(靈解)를 한다.

이단 발생의 원인

  • 성경의 예언된 말씀의 성취를 위하여 이단들은 일어나고 횡행한다.(마 24:3­51)
  • 기성교회의 제도적인 부패와 타락이 이단종파의 발생의 온상이 된다.
  • 교회와 교인들의 안일무사주의와 믿음의 표준에서 이탈하여 유리 방황하는 과정에서 이단이 발생한다.
  • 극단적이고 폐쇄적 성향의 기성교회의 율법주의적인 신앙생활의 반작용으로 이단들이 발생한다.
  • 기성교회가 교인들의 감정 심리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데서 이단들의 발흥의 원인이 된다.
  • 세상 징조에 나타난 위기의식의 고조를 통해 절망감을 안겨주고 자기네들을 통해서만이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‘피난처에의 희망’을 안겨주므로서 이단들이 존립된다.
  • 성서해석의 오류에서 일어난다.(계시록의 자의적 해석)

이단의 공통점

  •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과 실제로 믿는 것이 다르다.
  • 계시지향적인 체험신앙을 지나치게 강조한다.
  • 거짓예언을 한다.
  • 교주를 신격화한다.
  • 자기들만의 특수한 집단을 형성한다.
  • 종말론적 신앙을 지타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.
  • 기성교회를 신랄하게 비난하며 기독교의 정통성을 거부한다.
  • 성경 외의 체험이나 자기들의 경전을 진리로 주장한다.
  • 성경을 부분적으로만 받아들이는 편협한 성경관을 가지고 있다.
  • 행위구원을 강조한다.
  • 믿음보다 주관적인 구원의 체험을 더 확실한 구원증거로 삼는다.
  • 반사회적이고 비윤리적이다.
  • 영의 세계와 물질의 세계를 지나치게 이원화한다.
  • 삼위일체교리를 거부하고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을 거부 내지 왜곡한다.
  • 교주를 통한 구원을 강조한다.
  • 금전을 지나치게 강조한다.
  • 언어와 행동에 있어서 폭력적인 성향이 강하다.

신천지 집단 판별 11가지 사례

  • “목사님이나 교회 리더 말이라고 다 믿으면 안돼”
    (목사나 교회 리더들에 대해 불신이 싹트게 만든다)
  • “카톨릭이 부패한 것처럼 요즘 교회도 썩었어. 우리 교회 문제가 많아. 그렇지 않아?”
    (교회에 대한 불만과 불평을 품게 한다)
  • “어제 내 꿈에 당신이 힘들어 하는 꿈을 꿨어. 요즈음 어려운 일 있어?”
    (그 사람을 위한 것처럼 신비적 감성을 이용해 접근한다)
  • “성경에 대해 궁금하지 않아? 나랑 일주일에 한 번 공부하면 어때?”
    (이단사상의 접촉점을 만들기 위해 자신들과 성경공부를 하자고 유도한다)
  • “주여,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갈 수 없다고 하던데 천국에 갈 확신이 있어?”
    (구원과 믿음에 의심을 불어넣는다)
  • “요한계시로게 대해 궁금하지 않아? 세상의 종말이 어떻게 될 것 같아?”
    (요한계시록을 정확히 해석할 수 있는 것처럼 공부하자며 접근한다)
  • “내가 성경을 잘 아는 사람을 소개해 줄 테니까 성경을 공부해 보지 않을래?”
    (교회 밖에서 성경공부를 하자며 미혹한다)
  • “나 힘들고 외로워, 친구가 되어 줄래? 이 책 읽어 봤어?”
    (평상시 친분이 없는 사람들과 인간관계를 맺는다. 그리고 교리가 담긴 책을 선물한다)
  • “열 처녀 비유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해? 준비한다는 것은 무슨 뜻이야?”
    (믿음이 있는 것처럼 가장하여 성경의 비유에 대한 질문으로 미록한다)
  • “아담 이전에도 사람이 있었다는 것 알아?”
    (성경의 난제에 대해 질문하며 궁금증과 호기심을 유발한다)
  • “무료로 성경을 배워보지 않겠어? 설문조사하는 아르바이트 해 보지 않을래?”
    (아르바이트를 제공하는 듯한 후 성경공부를 하자고 접근한다)